Self-Development

[자기개발]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3년 1회 1부 시험문제

JanusLim 2023. 4. 29. 20:37
반응형

업무의 전문성을 위해

산업안전기사 자격증 공부


작년부터 저의 전공과 연관성이 전혀 없는 부서인
안전관리 업무를 하게 되어
정신없이 허덕이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래도 자격증 공부하고 취득하게 되면
기본이라도 이해하지 않을까 싶었지만
실상은 기출문제 위주의 자격증만을 위한
공부가 되었네요... (퇴근하면 이미 지쳐있는ㅠㅠ)

작년 3회 시험 시 필기시험 합격하고
실기까지 진행했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공부를 제대로 못 하여 처참한 점수를 받고 탈락...

올해는 작년보다는 공부를 더 했지만
필답형 시험 이후는 가족행사와 출장으로
작업형 시험공부는 그다지 못했네요 ㅎㅎ
(핑계만 늘어나는듯ㅋㅋ)

각설하고 '23년 1회 1부 기출문제 공유합니다!

'23년 1회 1부 (4/29 토요일  9시)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시험

 

□ 필수 준비물 :
신분증, 검정펜(볼펜 또는 사인펜), 수정테이프

수험번호만 알면 수험표는 굳이 필요없고,
공학용 계산기는 혹시 모르니 있으면 좋지만
작업형 시험에는 필수는 아닙니다^^
(이번 시험에서도 계산문제는 없었습니다)

※ 제 기억에 의존하여 문제가 정확하지 않아
    핵심적인 내용 위주로 작성합니다

    (의견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1. 프레스 작업시작 전 관리감독자가
    점검하여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6점)
1)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2) 방호장치의 기능
3)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4)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기구의 기능
5) 1행정1정지기구•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6) 크랭크축•플라이휠•슬라이드•연결봉 및
    연결나사의 풀림여부  
[근거]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3]
1)~3)만 외워둬서 1개 못 적었네요ㅎㅎ

2. 화면 상의 작업에서 근로자가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를 4가지 쓰시오. (5점)
    (영상의 보호구 착용여부와 상관없이 작성)
[콘크리트를 드릴로 파쇄하는 작업
 작업자는 안전모, 안전장갑, 안전화 착용]
답안) 안전모, 보안경, 안전화, 안전장갑,
          귀마개, 방진마스크 등

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2가지 쓰시오. (4점)
1) 해당작업에 따른 추락, 낙하, 전도, 협착 및
    붕괴 등의 위험예방대책
2)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근거]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내용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4]

4. 가솔린이 남아있는 설비에 등유나 경유를
    주입할 때 주의사항 관련하여 빈칸
    알맞은 것을 쓰시오. (4점)
1)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기 전에 탱크•드럼 등과
     주입설비 사이에 접속선이나 접지선을
     연결하여 (전위차)를 줄이도록 할 것
2)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그 액표면의
     높이가 주입관의 선단의 높이를 넘을 때까지
     주입속도를 초당 (1) 미터 이하로 할 것
[근거] 가솔린이 남아 있는 설비에 등유 등의 주입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8조
  1) 정전기와 마찰 사이 고민했는데ㅋㅋ
  전기 전공자는 상식으로 풀었다고 들었습니다


5. 밀폐공간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사람 및 기관 4가지 (6점)
1) 관리감독자
2)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3)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
4) 작업환경측정기관
5) 건설재해예방전문기관
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정하는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평가에 관한 교육을
이수한 사람
[근거]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9조의2

6. 추락방호망과 안전난간이 설치되지 않은
    박공지붕 설치작업장에서 작업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뒤편에 있던 적재물이 굴러와
    작업자를 치면서 작업자가 떨어지는 장면,
    안전대책 4가지 쓰시오. (6점)
1) 추락방호망을 설치한다
2)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3)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다
4) 작업자는 위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지 않는다
5) 한 곳에 적재물을 과적하지 않는다
[참고] 답안은 문제지 참고하였으며
- 적재물 적치를 잘 한다, 경사면에 자재를
  적치하지 않는다, 적재물이 쏟아지지 않게
  조치한다 등도 답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7. 브레이크 라이닝 제조공정 화면, 사업주가
    준수하여야 할 국소배기장치 작업 시
    덕트 설치 기준 3가지 쓰시오. (4점)
1) 가능하면 길이는 짧게 하고
    굴곡부의 수는 적게 할 것
2) 접속부의 안쪽은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할 것
3) 청소구를 설치하는 등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할 것
4) 덕트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이송속도를 유지할 것
5) 연결부위 등은 외부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할 것
[근거] 덕트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3조
엉뚱한 답을 적어 완전 틀린 문제...

8. 활선작업 중 핵심 위험요인 3가지 (4점)
    작업자가 크레인에 탑승하여 전봇대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고 밑에 있는 작업자는
    절연용방호구를 줄에 달아서 위로 올려주고
    있는 장면
1) 크레인의 붐대가 전기활선에 접촉되어 감전
2) 작업자의 복장이 갖춰져 있지 않아 위험
3) 신호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위험
4) 작업자가 안전대 착용하지 않아 추락 위험

저는 접근한계거리 내용, 절연용 방호구와
절연용 보호구 적었습니다.
찾아보니 여러가지 의견이 있어서 애매하네요


9. 흙막이 지보공 설치 목적과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 발견 시 즉시
    보수하여야 할 사항 3가지 쓰시오. (6점)
□ 목적 : 지반의 붕괴 또는 토석의 낙하 방지
                  [(토사) 붕괴 방지]
□ 정기점검사항
   1) 침하의 정도
   2) 버팀대의 긴압 정도
   3)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우무와 상태
[근거] 붕괴 등의 위험방지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47조

산업안전기사 또 봐야 하나...


덕트는 확실하게 틀렸고 오타나 탈락된 글자가
있어 확신이 없는 시험이 되었네요.
다시 공부하긴 싫은데, 턱걸이라도 붙길ㅜㅠ

시험 보신 분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