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3년 1회 시험문제
시험 기록을 위해 작성
필답형 시험을 보고 나서는 정신이 없어 기록을 하지 못했네요.
조금 시간이 지났어도 기록을 위해 작성해두려고 합니다.
인터넷을 돌아다니니 부분점수가 후하다고 하네요. (내심 기대 ^^)
오늘은 PC에서 작성하였으니 참고하세요~
'23년 1회 (4/23 일요일 09:30)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시험
※ 필수 준비물 : 신분증, 검정펜(볼펜 또는 사인펜), 수정테이프, 계산기
작업형과 마찬가지로 수험번호만 알면 수험표는 굳이 필요 없고,
계산문제도 나오기 때문에 공학용 계산기도 지참하십시오!
- 이번 시험에서는 계산문제가 하나 나왔어요. 작년에는 공부를 제대로 못해서
계산문제 Pass 하느라 계산기를 안 가져가기도ㅋㅋㅋ
- 시험에 허용 가능한 계산기가 있으니 확인 필수!
확인 안 하시고 오신 분이 감독관이랑 실랑이를 하기도;;
(계산기 확인은 감독관에 따라 복불복인 듯...)
1. 소음 작업 기준 문제(3점)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12조
'소음작업'이란 1일 7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강렬한 소음작업'이란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위험물질의 규정량(kg)에 대한 빈칸(4점)
인화성가스 (5,000)kg
암모니아 (10,000)kg
염산 20% (20,000)kg
황산 20% (20,000)kg
공부를 전혀 안 했던 부분... 표가 있고 단위까지는 주어졌던 것 같습니다
3. 안전인증 대상 차광보안경의 사용구분에 따른 종류 4가지(4점)
답안) 적외선용, 자외선용, 용접용, 복합용
4. 사업주가 배관에 파열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3가지(5점)
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2조(파열판의 설치)
1) 반응 폭주 등 급격한 압력 상승 우려가 있는 경우
2) 급성 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하여 주위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3) 운전 중 안전밸브에 이상 물질이 누적되어 안전밸브가 작동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는 경우
3번 못 썼네요...
5.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 화재위험작업 시 사업주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 3가지(3점)
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1조(화재위험작업 시의 준수사항)
1) 작업준비 및 작업절차 수립
2) 작업장 내 위험물의 사용ㆍ보관 현황 파악
3) 화기작업에 따른 인근 가연성물질에 대한 방호조치 및 소화기구 비치
4) 용접불티 비산방지덮개, 용접방화포 등 불꽃 불티 등 비산방지조치
5) 인화성 액체의 증기 및 인화성 가스가 남아 있지 않도록 환기 등의 조치
6) 작업근로자에 대한 화재예방 및 피난교육 등 비상조치
6. 산업안전보건법상 충전전로의 선간전압이 다음과 같을 때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를 각각 쓰시오(4점)
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1조(충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1) 0.38kV : 30cm (2) 1.5kV : 45cm (3) 6.6kV : 60cm (4) 22.9kV : 90cm
단위는 문제에 주어졌습니다. 숫자만 작성하시면 됩니다.
7.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 악화로 작업을 중지시킨 후 또는 비계를 조립, 해체하거나 또는 변경한 후에
그 비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하여야 할 사항 5가지(5점)
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8조(비계의 점검 및 보수)
1) 발판재료의 손상 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 상태
2) 해당 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 상태
3) 손잡이의 탈락 여부
4) 기둥의 침하, 변형, 변위 또는 흔들림 상태
5) 연결재료 및 연결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 상태
6) 로프의 부착상태 및 매단 장치의 흔들림 상태
4개 외우면 5개 쓰라고 하더군요...ㅠ.ㅠ
8. 어떤 사업장의 근로자수가 400명이고, 8시간 280일 동안 일을 하였을 때 연간 재해발생건수는 80건,
근로손실일수는 800일이다. 이 사업장의 종합재해지수를 계산하시오. (4점)
1) 도수율 = 재해발생건수/연근로시간수 × 1,000,000 = 80/(400×8×280)×1,000,000 = 89.2857≓ 89.29
2)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수 × 1,000 = 800/(400×8×280)×1,000 = 0.8928 ≓ 0.89
3) 종합재해지수 = (도수율 × 강도율)^0.5 = 8.9144 ≓ 8.91
소수점 처리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종합재해지수 구하는 방법은 기본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9. 가설통로 설치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할 사항 3가지(4점)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조(가설통로의 구조)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3)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할 것
4)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5)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6)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10. 조도 최소기준 문제(4점)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조(조도)
답안) 750 lux 이상 - 300 lux 이상 - 150 lux 이상 - 75 lux 이상
11. 사업주가 제공해야 하는 상황별 적절한 보호구 문제(4점)_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조(보호구의 지급 등)
.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거나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을 때 : 안전모
.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을 때 : 보안경
. 높이 2m 이상에서 작업하면서 추락할 위험이 있을 때 : 안전대
. 고열로 인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을 때 : 방열복
12. 위험성평가 절차(번호 나열하는 문제) (4점)
1)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준비
2)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3)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4)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의 결정
5) 위험성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
6)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기록•보존
순서대로 나열한 겁니다. 문제번호는 기억이 나지 않네요... ㅠ.ㅠ
13. 타워크레인 설치, 해체 시 근로자 특별안전보건교육내용 4가지(4점)
_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라. 특별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
1) 붕괴, 추락 및 재해 방지에 관한 사항
2) 설치, 해체 순서 및 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3) 부재의 구조, 재질 및 특성에 관한 사항
4) 신호방법 및 요령에 관한 사항
5) 이상 발생 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작업계획서는 외웠는데... ㅠ.ㅠ
14.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인 기계 기구 및 설비 3가지(3점)
_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1)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2) 화학설비
3) 건조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원예금지는 공포다... 아십니까? 그것만 외웠는데...
코멘트 보시면 아시겠지만,
어설프게 본 시험이네요 ㅠ.ㅠ
기출위주로 공부하면 잘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냥 처음부터 공부하기에는 양이 너무... 많죠?)
저는 틀리지 않을 수 있는 것만 최소로 암기하여
쓸 수 있는 답이 한정적이었어요 ㅠ.ㅠ
아는 분은 10년의 기출문제를 달달 외우셨다는데,
마음 편하게 보려면 그 정도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제가 공부한 방법(도움이 될지...)을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