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후기] 콘크리트 유토피아 (후기, 쿠키X, 스포X)
하나 남은 아파트,
집단 이기주의의 끝
콘크리트 유토피아

어느 날, 갑자기 폐허가 된 도시
아파트에 고립된 사람들
모든 것이 무너진 도시에서
그중 멀쩡하게 남아있는 단 하나의 아파트
이 영화는 이러한 자연재해가 왜 발생했는지,
외부와의 연락을 통해 구조되는 영화가 아니다.
주변 모든 것이 무너진 상황에서
하나 남은 황궁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사건,
그리고 그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다양한 인간 군상,
내가 저 상황이었다면?
영화 속 인물들은 매우 현실적이다.
그래서 빠져드는 몰입감이 있었고,
때로는 처참하고 끔찍했다.

그중 이병헌이 연기한 김영탁이라는 인물은
1층에서 발생한 화재를 용감?하게 진압하는
시민으로 첫 등장한다.
아파트 입주민과 외부인의 마찰이 심해지면서
아파트 입주민은 회의를 실시한다.
부녀회장인 김금애(김선영)는
화재를 진압한 영웅인 김영탁을 대표로
선출하고 투표를 통해
외부인을 내쫓자는 결정을 하게 된다.


처음에는 어리바리하고 자신감도 없는
소시민, 일반인처럼 보였던 김영탁
외부인을 내쫓는 과정에서
아파트 입주민의 지지를 받고
대표로서 각성하게 된다.

엄동설한의 추운 겨울.
따뜻한 보금자리가 있는 황궁아파트 입주민과
그런 입주민에게 바퀴벌레 취급받는 외부인
아파트 내 식량도 부족하게 되면서
수색조를 편성하게 되고
식량, 가스 등 자원의 차등 분배로 인하여
갈등도 생기기 시작한다.
황궁아파트 입주민은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까?
그들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여운이 짙게 남는 영화
현실적이고 잔인한 인간들
영화 속 인물들은 우리 사회 어딘가에서
볼 수 있는 인간 군상을 다루고 있다.
모든 것이 무너진 상황이고
자원도 한정된 상황에서도
외부인을 도우려는 사람들

어딘가 문제가 있다고 느끼지만
살기 위해서 노력하는 사람들
모든 것이 폐허가 됐음에도
국회의원이랍시고 떵떵거리는 사람
아파트 입주민이라는 소속감 아래
살기 위해 약탈을 일삼는 사람들
.
.
.
영화처럼 모든 게 무너진 상황이면
모든 사람들의 행위가 이해가 된다.
그래서 더욱 무섭다.
언제, 누가 구하러 올지 모르고
자원은 한계가 보이는 상황
어디까지 우리로 보아야 하는가?
가족, 아파트 입주민, 인간, 한국인... ?
마치 우리의 모습과도 같은 계급사회
그리고 나라면 과연 어떤 선택을 할까?
이 영화에서 나온 대사 중
가장 마음에 와닿으면서 안타까운 대사
저 여기 살아도 돼요?
몰입감 있고 재난에 처했을 때,
인간 군상이 궁금하다면 추천하는 영화
